제 1장
1.1 프로그램이란?
프로그램 : 적절한 일의 단위들을 순서에 맞게 나열한다는 의미가 내포.
또한 올바른 명령을 실행해야 함.
1.2 프로그래밍 언어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수단, 명령어들의 모임"
1) 기계어
컴퓨터가 알아들을 수 있는 명령어를 2진수로 표현해 둔 것.
중앙처리장치(CPU)가 알아들을 수 있는 전기전자적인 흐름의 표시를 2진수로 표현해 둔 것.
2) 고급언어
사람이 이해하고 사용하기 쉽게 만들어진 명령어들로 구성되어 있는 언어.
3) 컴파일러
중앙처리장치(CPU)는 기계어만 알아들을 수 있다. 따라서 우리가 이해하는 고급언어를 기계어로 변환해 줄 필요가 있는데 컴파일러가 그 역할을 한다.
1.3 고급 언어의 종류와 C언어
FORTRAN, COBOL, LISP, Prolog, ASP, PHP, Java
C언어는 UNIX라는 운영체제를 만들기 위해 개발된 언어이다.
1.4 컴파일러의 선택과 개발환경
여기서는 비쥬얼스튜디오 6.0을 사용한다.
1.5 C언어를 위한 비쥬얼스튜디오 개발 환경 익히기
제2장 C 프로그램의 기초
2.1 프로그램의 기본 모습
#include <stdio.h> : 입출력 명령문이 있는 경우만 기술(하지만 우리의 실습은 거의 대부분 입출력이 있으므로 기본임.)
#include <stdio.h>
void main()
{
작성하려는 프로그램 내용이 들어갈 곳
}
2.2 프로그램 작성할 때 사용하는 문자
C언어는 기본적으로 소문자를 사용하고, 대문자는 특별한 경우에만 사용.
2.3 명령문은 항상 세미콜론(;)으로 끝나야한다.
2.4 주석
자바와 동일한 주석문. /**/, //
2.5 상수
상수 : 변하지 않는 수
C언어에서 사용하는 상수는 3가지 종류가 있다.
1) 정수(Integer)
양수, 0, 음수
8진수, 16진수도 사용할 수 있지만 part2에서 다루기로 하고 pass
2) 실수(floating-point number)
실수에서도 아주 큰 수나 아주 작은 수를 표현하는 지수 형태의 실수 표현 1.23e3같은 경우도 있지만 10진수만 생각하고 pass
3) 문자(character)
영문 알파벳이나 기호문자
4) 문자에 대한 약간의 추가 설명, 그리고 문자열
문자 : 문자 1개라는 뜻. e.g) 'a' : (O), 'ab' : (X)
*예외: '\n','\t' 처럼 보통의 의미를 벗어나는 탈출문자(escape character)인 경우 \n 표현 자체가 하나의 문자라 약속.
문자열 : 2개 이상의 문자의 나열
2.6 변수
변수(variable) : 변하는 수
1) 변수의 선언과 변수의 자료형
변수의 자료형은 정수형, 실수형, 문자형이 있다.
2) 변수 작명시 규칙
3) 변수에 값 저장하기
char ch = 's';
int i = 1;
float silsu = 123.23;
double dosilsu = 123.23;
double은 아주 큰 실수값이나 아주 작은 실수값을 보과하기 위한 용도로 쓰이는 것으로서 float에 비해서 더욱 정확하게 실수값을 보관할 수 있는 변수형이다. float으로 선언한 실수 변수가 유효숫자 7자리까지 정확하다면, double로 선언한 실수 변수는 유효숫자 15자리까지 정확하다.
2.7 변수 값의 출력을 위한 printf 명령문과 변환 기호
변환 기호 : 변수값을 대치하여 출력하는 것.
%d : 정수를 10진수로 출력. printf의 두번째 변수에 보관하고 있는 현재 값.
%f : 실수 변수에 저장되어 있는 변수값 출력시 사용하는 변환기호
%c : 문자 변수에 저장되어 있는 변수값 출력시 사용하는 변환기호
%lf : double형 변수에 저장되어 있는 변수값 출력시 사용하는 변환기호
댓글 없음 :
댓글 쓰기